2013년 4월 11일 목요일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pptx


목차
1.학생 개개인의 학업 성취수준 파악

2.교수․학습 강화로 학력 신장

3.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학습결손 보충

4.교육과정 개선 및 행․재정적인 지원의
기초자료로 활용



본문
<배경변인 설문조사>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교육맥락변인의 관계를 파악하고,
각 교과의 성취가 일어나는
다양한 교육맥락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함


<결과 보고 및 활용 >


준거 참조 평가로서 학생에게 교과별 성취수준을
통보하도록 함(우수, 보통, 기초, 기초미달)

1 지역 및 국가 교육정책수립
2 진로 지도 등의 자료로 활용
3 단위학교에서의 교수 학습방법 개선

2010
10월 평가7월로 조정: 개별 학생에 대한 보정교육기간확보
고교평가 대상학년 고2로 조정
과목을 기초교과영역인 국어, 수학, 영어 3개 교과로 축소
70분에서 60분 수준으로 단축 조정:평가부담을 완화
학생들의 성취도를 척도점수로 변환하여 4단계 성취수준으로 산출
학교의 장은 응시현황 및 3등급 비율을 공시

교과별 성취수준 도달여부의 타당성, 대상 교과의
타당성, 평가 문항 변별도에 대해 대부분 긍정적 인식

평가 대상의 적절성, 해당 학년의 교과 내용 반영도
대부분 적절하다고 인식
(대부분의 교사들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결과를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추수 지도 자료로
활용하고 있음)



학업성취도평가가 지역 간 학력격차 해소에 기여하는가?
학교 교육의 사회적 책무성 제고에 기여하는가?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정상화에 기여하는가?
학교 현장의 실정을 반영한 학교 교육정책 수립에 도입이 될 것인가?


이러한 물음에 대부분 부정적 반응



업무량이 많아 졌다고 인식
학교장의 수업에 대한 불필요한 관심과
관여가 많아졌다고 인식
수업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이 있는 것으로 인식


평가 결과 공개에 대하여 반대의 목소리가 높음
(학교 평가나 교사 평가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

현행 학업성취도 평가 체제가 교사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방식으로 교사들은 학업성취도 평가를
자신들에 대한 통제도구로 이해하고 있음










본문내용
습 강화로 학력 신장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학습결손 보충
교육과정 개선 및 행재정적인 지원의
기초자료로 활용
< 목적 >

Step
1
<201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계획>

Step
1
<교과별 검사지 문항 구성>(2011년 기준)

Step
1
<배경변인 설문조사>
+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교육맥락변인의 관계를 파악하고,
각 교과의 성취가 일어나는
다양한 교육맥락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함

Step
1
<배경변인 틀>

Step
1
준거 참조 평가로서 학생에게 교과별 성취수준을
통보하도록 함(우수, 보통, 기초, 기초미달)
<결과 보고 및 활용 >
1 지역 및 국가 교육정책수립
2 진로 지도 등의 자료로 활용
3 단위학교에서의 교수 학습방법 개선

Step
1
< 평가 결과 처리과정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