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4월 20일 토요일

맹자(유가의 정치사상)

맹자(유가의 정치사상)
맹자(유가의 정치사상).hwp


목차
1. 맹자의 생애와 사적

2. 맹자의 기본철학 ; 심성론(心性論)
1) 성선설(性善說)
2) 의리(義利)의 변(辨)
3) 양기(養氣)와 덕(德)의 공부

3. 맹자의 정치이상
1) 민본설
2) 민본주의적 혁명사상
3) 인정(仁情)과 왕도(王道)

4. 맹자의 역사관

5. 위아무군(爲我無君)과 겸애무부(兼愛無父) - 양주와 묵적을 비판함
1) 양주의 위아무군
2) 묵적의 겸애무부

본문
1. 맹자의 생애와 사적

맹자는 공자가 죽은 지 약 백년후에 활약하였으며, 공자에서 시작된 유학을 크게 발전시켰다. 맹자가 활동하던 시대와 그가 처했던 환경은 대략 비슷했는데, 맹자도 여러나라를 돌아다녔으나 출세에는 성공하지 못했다. 단, 맹자가 활동했던 시기는 백가(百家)가 난무했던 시기였기 때문에 맹자는 유학을 보존하고 옹호하기 위해 다른 학설들과 다투는 것을 임무로 삼았으며, 주로 양주와 묵적의 주장을 반박하였다.

2. 맹자의 기본철학 ; 심성론(心性論)

1) 성선설(性善說)

인(仁), 의(義), 예(禮), 지(智)라는 가치의식이 인간의 자각심속에 내재한다는 의미로 선하게 태어난다는 의미는 아닌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맹자는 불인지심(不忍之心)과 사단(四端)을 통해 성선이 드러난다고 말한다.

* 사단 = 측은지심 → 인(仁)의 단서
수오지심 → 의(義)의 단서
사양지심 → 예(禮)의 단서
시비지심 → 지(智)의 단서

<중 략>

5. 위아무군(爲我無君)과 겸애무부(兼愛無父) - 양주와 묵적을 비판함

유학은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는 중용을 중시한다. 유가에서는 “인은 만물에 통한다(仁通萬物)”라고 말하며 사랑의 보편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또 “사랑을 행하는 데는 순서가 있다”고도 하면서 사랑의 차별성을 말한다. 맹자는 양주와 묵적을 모두 비판하였는데 양주는 위아설(爲我說)에 근거하여 사랑의 보편성을 말살했으며, 묵적은 겸애설(兼愛說)을 주장하여 차별성을 배척했기 때문이다.

1) 양주의 위아무군

양주의 사상은 모든 사람이 각자 자신을 위하고 서로 관여하지 않으면 천하는 아무 일없이 태평해 진다는것이다. 이것은 개인주의적 사상의 극치이다. 양주의 학설에서는 사회조직과 그 가치를 전혀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맹자는 군주와 국가의 일은 바로 사회 공공의 일이므로 관여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입장이다. 맹자는 양주의 학설을 끝까지 살펴본 후에 양주를 가리켜 ‘ 자신만을 위하고(爲我), 군주가 없는(無君) ’자라고 비판하였다.

본문내용
였으며, 공자에서 시작된 유학을 크게 발전시켰다. 맹자가 활동하던 시대와 그가 처했던 환경은 대략 비슷했는데, 맹자도 여러나라를 돌아다녔으나 출세에는 성공하지 못했다. 단, 맹자가 활동했던 시기는 백가(百家)가 난무했던 시기였기 때문에 맹자는 유학을 보존하고 옹호하기 위해 다른 학설들과 다투는 것을 임무로 삼았으며, 주로 양주와 묵적의 주장을 반박하였다.
2. 맹자의 기본철학 ; 심성론(心性論)
1) 성선설(性善說)
인(仁), 의(義), 예(禮), 지(智)라는 가치의식이 인간의 자각심속에 내재한다는 의미로 선하게 태어난다는 의미는 아닌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맹자는 불인지심(不忍之心)과 사단(四端)을 통해 성선이 드러난다고 말한다.
* 사단 = 측은지심 → 인(仁)의 단서
수오지심 → 의(義)의 단서


참고문헌
김철운, 유가儒家의 정치사상政治思想에 대한 고찰
두산백과, 동양의 유가정치사상

하고 싶은 말
한양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동양정치사상> 과목의 A+ 레포트 입니다.
유가의 정치사상을 맹자를 중심으로 언급하였고, 맹자의 기본철학, 추구사상, 비판의 주요내용을 기록하였습니다.
위 과제목적은 사실위주의 인물조사이기 때문에 사실위주로 만들어졌습니다.

유가의 정치사상에 관한 과제에 많은 도움이 될 것 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