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3월 29일 금요일

(A+ 레포트, 정보회계제도의 변화)※ 한국의 정부회계제도의 변화에 대해서 설명하라.

(A+ 레포트, 정보회계제도의 변화)※ 한국의 정부회계제도의 변화에 대해서 설명하라.
정부회계제도의 변화.hwp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정부회계의 혁신 필요성
2. 정부회계제도의 추진현황
(1) 제도의 추진배경
(2) 제도의 준비 및 추진과정
3. 정부회계 발전 모델
(1) 기본방향
1) 이원화 모델 채택
2) 복식부기 회계원리와 발생주의 인식기준 적용
3) 단계적 도입전략을 채택
(2) 법적근거, 재무보고목적 등 기본사항
1) 법적 근거 및 회계기준의 적용
2) 재무보고의 목적과 회계처리의 일반원칙
3) 보고실체와 회계실체
(3) 재무제표와 재무보고서
1) 재무보고서
2) 재무제표
4. 정부회계제도 정착을 위한 향후과제
(1) 제도기반 구축
(2) 효과적인 관리운영
(3) 성과(원가)정보의 제공

III. 결론

* 참고자료


본문

I. 서론

1999년 국민의 정부에서 복식부기발생주의 회계제도 도입 추진을 발표하고 경기도 부천에서 그 시범사업이 시작된 이후로 10여 년간 우리의 정부회계가 꾸준히 발전해오고 있다. 그 동안의 개편안의 여러 특징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회계기준이 현금주의에서 발생주의로 전환되었다는 것이다. 발생주의회계는 현금의 유출입과 관계없이 거래가 발생한 시점에 수익과 비용을 인식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회계의 도입으로 미지급금선수금예수금과 감가상각비가 재정수지에 포함된다. 또한 발생주의 적용에 따라 국가채무에서 내부거래를 제거되도록 발전하고 있다. 반면 영국, 미국, 호주, 뉴질랜드, 프랑스 등에서는 이미 정부회계에 복식부기 및 발생주의회계제도를 도입하여 재정운용의 효율성, 투명성 및 책임성을 강화하는 수요자 중심의 재정관리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발생주의복식부기의 도입이 순탄했던 것만은 아니었다. 1999년 정부가 정부회계의 복식부기 도입을 국정과제로 선정하였고, 부천시가 그 시범사업을 맡게 되었다. 지방회계제도 도입이후 60여 년만의 혁신이었다. 부천에서의 성공적인 발생주의복식부기 도입을 바탕으로 2007년에는 전국의 모든 지방자치단체에서 발생주의복식부기 회계가 시행되었다. 마침내 2007년에 ‘국가회계법’이 제정되었고, 2009회계연도 결산부터는 중앙정부도 ‘국가재정법’에서 규정된 현금주의단식부기 개념의 세입세출보고서와 함께 ‘국가회계법’에 따른 재무회계 방식의 재무보고서가 함께 작성되어 국회에 제출되었다.



본문내용
제도의 준비 및 추진과정 3
3. 정부회계 발전 모델 3
(1) 기본방향 3
1) 이원화 모델 채택 3
2) 복식부기 회계원리와 발생주의 인식기준 적용 4
3) 단계적 도입전략을 채택 4
(2) 법적근거, 재무보고목적 등 기본사항 5
1) 법적 근거 및 회계기준의 적용 5
2) 재무보고의 목적과 회계처리의 일반원칙 5
3) 보고실체와 회계실체 5
(3) 재무제표와 재무보고서 6
1) 재무보고서 6
2) 재무제표 6
4. 정부회계제도 정착을 위한 향후과제 6
(1) 제도기반 구축 6
(2) 효과적인 관리운영 6
(3) 성과(원가)정보의 제공 7
III. 결론7
* 참고자료7
I. 서론
1999년 국민의 정부에서 복식부기발생주의 회계제도 도입 추진을 발표하고 경기도 부천에서 그 시범사업이 시작된 이후로 10

참고문헌
김동현, 김판석. (2007).「한국행정개혁론」. 서울: 법문사
이은상. (2007). 정부회계제도의 개선방안.「재정개혁」.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이계식, 문형표. (2005).「정부혁신」.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이경섭.(2003).중앙정부회계의 개혁과제.「계간감사」서울: 감사원
이상운, 장권. (2002).「복식부기도입에 따른 정부의 재정개혁」.서울: 법문사
이종운. (2002). 정부예산회계제도의 문제점과 정부회계의 개선, 서울: 법제처
윤성식, 권수영. (2001)「정부회계」. 서울: 법문사
이계식, 고영선. (1997).「아래로부터의 정부개혁」.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하고 싶은 말
이 자료는 한국의 정부회계제도의 변화 및 제도 정착을 위한 의견을 함께 제시한 A+ 레포트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