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이처럼 당시의 고전 소설은 역사의 한 부분으로 인식되었고 우리 문학 체계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던 역사를 소설의 내용을 사실로 인식해 왜곡되어 전해졌다. 선비조차도 허구와 실제를 혼동했다는 것이다. 이는 현대의 드라마와도 비슷하다. 드라마가 가지고 있는 대중에 대한 영향력은 크다. 대중 예술이라고 할 만큼 대중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 미실은 ‘화랑세기’에 잠깐 언급된 인물인데 그 존재 여부조차 의심스럽다. 화랑세기가 위작이냐 아니냐에 대한 논란이 아직도 일고 있기 때문이다. 드라마 ‘선덕여왕’ 에서 덕만 공주도 쌍둥이가 아니었다. 또한 선덕여왕과 김유신, 김춘추의 활동 시기는 역사상 다름이 분명한데 드라마 속에서는 같이 활동한다.존재 여부조차 확실치 않은 인물과 사건, 시기를 작가의 상상력으로 묘사하여 그려
본문내용 린다. ‘바람의 화원(2008)’, ‘천추태후(2009)’, ‘동이(2010)’ 등 많은 역사 드라마 중에서 2009년 수많은 유행어 와 캐릭터를 유행시킨 드라마가 있다. 바로 ‘선덕여왕(2009)’ 이 다.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고른 연령층의 지지를 받았던 드라마 이지만 이 드라마 역시 역사 왜곡에 대한 비난을 피할 수 없었다. 특히 ‘선덕여왕‘의 경우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임금으로 그 의미 가 크다. 해서 ’선덕여왕‘을 중심으로 고전 소설 비평론을 통해 역사 드라마의 역사 왜곡에 대해 비평하고자 한다. 본격적으로 비평하기에 앞서 고전 소설 비평론이 어떠한지 알아야 한다. 사실 고전 소설은 ‘소설’의 뜻에서 알 수 있듯이 작은 이야기라는 뜻이다. 처음 소설은 패관소설, 야담 등 선행 형태들을 통해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