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연구목적 Ⅱ. 문헌고찰 Ⅲ. 연구가설 Ⅳ.
연구방법 1.연구의 대상 및 표집 방법 2.조사도구 3.분석방법 Ⅴ. 연구결과 Ⅵ. 토의 및 고찰 Ⅶ.
결론
참고문헌 부록1. 설문지 부록2. 통계분석결과 부록3. 실습일지
본문 2.우울증의
관련요인
1)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증 스트레스의 개념은 일반적으로 반응으로서의 스트레스, 자극으로서의 스트레스,
상호작용으로서의 스트레스 등 세가지 관점에서 정의되고 있다(Lazarus & Folkman, 1984; Phillips, 1993;
정동화, 1995). 이 중 상호작용의 관점의 대표적 학자인 Lazarus & Folkman(1984)은 스트레스를 “개인의 능력이
부담을 느끼거나 능력의 한계를 초과하여 개인의 안녕을 위협한다고 생각될 때 느껴지는 인간과 환경간의 특정한 관계”로 정의한다(정동화,
2009). 대학원생은 특수한 생활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필연적으로 스트레스를 경험 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다양한 신체, 정신적
스트레스 증상이 발현되는데, 생리적 증상(두통, 위통과 위경련, 요통, 혈압상승, 피로감, 심박수 증가 등), 행동적 증상(울음, 교통사고,
건망증, 고함, 비난, 자기과시, 강박적 행동, 공격성 등), 정서적 증상(걱정, 우울, 흥분, 조바심, 분노, 좌절감, 고독감, 무력감, 불안
등) 등이 나타나게 된다(Fisher, 1994; 최미경과 조용래, 2005; 한금선, 2005; 공수자와 이은희, 2006; 김차희와 이민규,
2006; 김윤배, 2007; 정동화, 2009). 생활스트레스가 이러한 다양한 증상들 중 특히 우울증을 유발하거나 악화하는 요인임은 국내외
다양한 선행연구들에 의해 시사되어 왔다(Cole & Turner, 1993; Kessler, 1997; Rosal, 1997; Tram
& Cole, 2000; 김남재, 2002; 최미례와 이인혜, 2003; Stecker, 2004; 박경, 2004; 이은희, 2004;
공수자와 이은희, 2006; Laurence, 2009).
2) 일반적 특성과 우울증 우울증과 관련된 일반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인구 사회학적 변수 및 사회경제적 상태에 대한 선행 연구들에 의하면, 우울증의 위험인자로
여자, 이혼이나 별거의 결혼상태, 낮은 학력, 무직상태, 낮은 경제적 수준 등을 제시하고 있다(김문두 등, 2003; 김선아 등, 2006;
김영택 등, 2008; 조현주 등, 2008). 연령에 있어서는 40세 이상 중년 및 고령층에서 우울증이 다발하며, 연평균 증가율은 70대와
10대 순으로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0). 우리나라 의대생의 경우, 26세 이상의 연령이 우울증에 유의한
위험인자로 제시된 반면에, 거주형태나 종교는 유의하지 않은 변수로 밝혀졌다(Roh et al, 2009). 친밀한 사람과의 접촉여부나 사회적
지지 등 개인의 사회적 자본이 우울증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밝힌 연구들도 있다(George et al, 1989; Hokanson et al,
1989; Wildes et al, 2002; 김문두 등, 2003; La Greca et al, 2005). 건강 관련 생활습관은
음주(신경림, 2010), 흡연(Anda et al, 1990; Gulec et al, 2005; 김태석과 김대진, 2007; Trine et
al, 2010), 성생활을 안하는 것(Jho, 2001; 신경림, 2010), 수면시간 부족(김문두 등, 2003)등이 우울증의 위험인자로
제시되었고, 그 밖에 우울증 가족력(정승희 등, 2008)이나 만성질환(Bennett, 1994; Wells et al, 1998; 이미숙,
2010)등이 우울증 발병이나 진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정신건강서비스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이선혜(2007)의 연구에서는, 여성, 정신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타인에 대한 신뢰가
본문내용
조사도구 분석방법 Ⅴ. 연구결과 Ⅵ. 토의 및 고찰 Ⅶ.
결론 참고문헌 부록1. 설문지 부록2. 통계분석결과 부록3. 실습일지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대학원 생활은 보통 청년기 또는 성인초기에 행해지며, 이 시기에는 의존에서 독립적인 성인으로의 변화를 겪게 된다(장휘숙,
2009). Harvighurst(1957)에 의한 발달과업 개념으로 살펴보면 이 시기에는 가정을 꾸미고 직업생활을 시작하며 시민의 의무를
완수하고 마음이 맞는 사람과 사회적 집단을 형성해야 한다. 그러나 대학원 생활은 학부와는 다른 새로운 환경과 문화의 노출로서 스트레스 과정이 될
수 있으며(Juthani, 1992), 심리정신적 건강을 위해서는 대학원 학교 생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시사하였다(김계하와 신수진,
20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