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 러시아영화의 문화적인 측면과 잘 알려진 러시아음악 조사분석 (A+자료)
[경영학] 러시아영화의 문화적인 측면과 잘 알려진 러시아음악 조사분석 (A+자료).hwp |
목차 * 들어가며 *본론 1. 영화로 살펴보는 소비에트 러시아 1). 혁명 전 러시아 영화 2). 혁명직후 소비에트 영화 3). 1920년대의 소비에트 영화 4). 1930년대의 소비에트 영화. (중요 부분) 5). 1940년대 소비에트 영화 6). 1950년대 60년대 소비에트 영화 7). 브레즈네프시대의 소비에트 영화(1964-1982) 8). 개혁. 개방기 이후의 러시아 영화 2. 우리에게 잘 알려진 러시아 음악 1). Cranes(백학) / Iosif Kobzon(이오시프 코브존) 2) 가을의 노래 / 안나 게르만 3) Kolokolchic(코로코치기) / Natalia Senchukova(나탈리아 센츄코바) 4) 크리산테메스(국화) / Svetlana&Pide Lowtchek(스베트라나&피데로체크) 5) 스따르이 끌룐(단풍) / 트리오 메리지안 6) Theme Bulgare(불가리아 테마) / Svetlana(스베트라나) 7) Million Of Red Roses / Alla Pugatcheva(알라 푸가쵸바) 8) Fastidious Steeds(야생마) / Vlaclmir Vysotsky(블라드미르 비소스츠키) 9) Confession / Sankt Petersburg (샹트 페테르부르크) 10) Listen Up Guy / Everest 3 . 빨간색을 사랑한 러시아 * 결론 본문 *본론 1. 영화로 살펴보는 소비에트 러시아 1). 혁명 전 러시아 영화 러시아는 프랑스의 뒤미에르에 의해 처음 영화를 접하게 되고 조금씩 러시아인들에게 관심을 얻었다. 20세기 초 황제의 폭정으로 혁명운동이 점점 커지면서 점차 사회적 현상을 반영, 비판하는 기능으로 발전해갔다. 또한 세계 1차 대전이 일어나기 전에는 대부분의 영화가 전쟁선동 영화이고 전쟁 중에는 영화는 애국심의 고취를 목적으로 하였다. 2). 혁명직후 소비에트 영화 1917년 10월 혁명은 모든 분야에서 변화를 가져왔는데 이 시대 영화는 볼셰비키들에 의한 대중들의 교육과 계몽의 (공산주의 이념과 민중의 교화) 도구로서의 기능을 하였다. 영화는 적극적인 지원 속에서 정부의 완전 통제 하에 있었고 그에 반해 ‘사회적. 정치적’ 불안으로 배우들, 감독들, 인력들은 외국으로 빠져나갔다. 이러한 상황아래 정치적 선동영화, 뉴스 영화와 타큐멘터리 영화가 만들어졌다. 3). 1920년대의 소비에트 영화 1차대전과 내전으로 경제 상황 또한 매우 어려웠고 영화 제작산업 또한 더욱 악화 되었다. 그러나 신 경제 정책으로 국가산업과 함께 영화산업도 활성화되었다. 1924년에는 모든 국립영화기관을 통합한 ‘소브키노’가 탄생되고 영화제작에 유능한 인물들이 유입되면서 창조적 활기를 뛰기 시작했다. 이렇게 20년대 초에 유능한 인력과 시설 및 자본의 확립으로 영화의 발전과 다양화를 가져오는 등 소비에트 우성영화의 황금기를 이루게 된다. 4). 1930년대의 소비에트 영화. (중요 부분) 1932년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라는 개념이 등장하면서 예술의 사회적 역할의 중요성이 더욱더 강조 되었다. 사회주의 정신으로 민중을 교육시키고, 사상적 개조의 임무를 띤 혁명의 발전 속에서 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창작방법인 개념이다. 이 당시 영화의 주인공으로는 이전 작품들의 대중이나 집단이 아니라 사회주의 건설을 위해 노력하는 지도자와 민중의 대표자이다. 30년대 중반이후 정부의 검열제도 등으로 창조적 정신은 완전 없어지고 몇 가지 진부한 전형을 보인다. 첫째. 다양하게 형상화 된 레닌의 모습이 영화속의 주인공으로 자주 등장한다. 스탈린은 레닌의 절대적 모습을 통하여 자신의 신화화 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작품.베르토프<레닌에 대한 세 가지 노래>.스트로예바<승리자들의 세대>.유트케베치<무기를 든 사나이> 둘째.문학작품과 역사 속에서 나타난 인물들을 영화화하였다. 주로 주인공의 업적과 그의 확고한 국가관과 애국심을 드러냈다. -작품.페트로프<표트르1세>.페트로프브이토프<푸가쵸프>.프라보프<스테판 라진> 셋째. 노동의 가치와 노동의 위대성 강조되었다. -작품.에르믈레르<농민들에게>.젤리테르<조국의 딸>.헤이피츠자르히<정부의 일원> 5). 1940년대 소비에트 영화 1940년대에 들어서면서 스탈린의 공포정치가 더욱더 강화되어 정적인 분위기가 점차 고조되었다.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조국을 위해 영웅적으로 투쟁하는 민중에 대한 영화가 많이 제작되었고 전쟁 후에는 ‘이데올로기 문제에 대한 공산당 중앙위원회 계약’이 등장하여 문학과 예술에서 공산주의 정신의 교육이 더욱 강조되었다. 이 시기 큰 특징은 제2차 세계대전의 실제 영웅으로 스탈린을 이상화하고 절대화했으며,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원칙을 더욱 극단적으로 해석하였다. 6). 1950년대 60년대 소비에트 영화 본문내용 3세계 영화는 정말 1년에 한두편 걸리면 많이 걸리는 것일지도 모른다. 대부분의 배급사가 미국이나 한국 영화인 우리나라중에 다른 나라의 영화를 보기는 정말 힘든것이 현실인 것이다. 그중 러시아 영화라면 더더욱이 우리나라에서 러브인 시베리아라고 알고 있던 영화가 원제목이 시베리아의 이발사란 사실도 목요문화제를 통해서 알게 되었다. 또한 형제란 영화를 보면서 러시아에서도 우리나라처럼 자국 영화가 만들어지겠지란 막연한 생각에서 벗어나 실제로 볼수 있어서 좋았다. 하지만 헐리우드 블럭버스터에 익숙해 있고 또 한국 영화에만 익숙해 있던 우리에게 타국의 영화란 그저 단순한 흥미거리일뿐 . 형제란 영화와 시베리아의 이발사란 영화를 보면서 느낀점은 한때 강대국이면서 그 힘을 자랑하고 싶어했던 그리고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