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연구목적
연구방법
선행연구
결과 및 분석
논의
한계점
참고문헌
본문 (2)사랑할 때 가능한 것들 부드러움은 단단함보다
강하며, 물은 바위보다 강하고, 사랑은 폭력보다 강하다 -『싯다르타』, 1919~1922년
더 많이 알고 혹평하는 사람이 아니라,
사랑하고 인내하고 용서할 수 있는 사람이 언제나 이겼습니다. -카를 마리아 츠비슬러에게 보낸 편지, 1932년 5월 말
우리는
마음속 깊이 행복을 갈망하며, 외부에 있는 것들과의 기분 좋은 화음을 갈망한다. 그런데 어떤 사문에 대한 우리의 관계가 사랑 이외의 다른 것이
되자마자 이 화음은 깨어진다. 사랑할 의무는 없다. 단지 행복해야 할 의무가 있을 뿐. 오직 그것을 위해서 우리는 세상에 존재한다. 그런데
의무와 도덕과 사명으로는 서로를 행복하게 만들기 힘들다. 왜냐하면 그것으로 자기 자신도 행복하게 만들지 못하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이 ‘선’할
수 있다면, 그건 그가 행복할 때만, 자기 안에서 조화를 이룰 때만 가능하다. 그러니까 그가 사랑할 때만 가능한 것이다. -『마르틴의 일기
중에서』,1918년
한순간을 위해 자신을 대던질 수 있는 것, 한 여성의 미소를 위해 여러 해를 희생할 수 있는 것, 그것이
행복이다. -『가을의 도보 여행』, 1906년
사랑은 행복과 다르지 않다. 사랑할 수 있는 사람은 행복하다. 『마르틴의 일기
중에서』,1918년
우리 인생에서 가장 생기 넘치고 발랄했던 시기가 다른 사람의 기억 속 어딘가에 여전히 계속 살아 있다는 사실을
경험하는 일은 언제나 행복입니다. -에르나 프랭켈에게 보낸 편지, 1961년 1월
-참조 책명: 헤세의 사랑 (사랑하는
사람은 행복하다) 저자: 헤르만 헤세 , 폴커 미헬스 엮음, 이재원 옮김
본문내용 정적 인간관계’
영역에 해당하기 때문에 낭만적 사랑을 잘 하는 사람은 행복의 주요 원천에서 행복을 잘 얻어내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연애를 잘 하는
것은 행복한 삶을 사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게다가 중, 고등학교 재학 시기에 대학 입시에 모든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하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실정 상 자연히 이러한 부담에서 벗어나 좀 더 많은 자유시간을 확보하고 있는 대학생들은 연애에 특히 더 많은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대학생 시기의 연애에 대하여 연구, 분석하고, 연애를 통한 행복 증진 방안을 논의하는 것은 인생에서 행복의 중요한 요소에
관하여 연구해 보고, 가급적이면 현재 대학생인 우리의 신분에 맞게 행복한 대학생활에 관한 주제를 설정하자는 <행복의 과학적 탐구>
조별 보고서 작
참고문헌 참고문헌
1<<엉뚱발랄 연애 잡학 사전>>,구가 라나이 ,이동희
옮김, 출판사:전나무숲
2<<(행복한 사람 달라이 라마의 인생 수업) 우리에게는 사랑이 필요하>>, 달라이
라마,라지브 메흐로트라 엮음, 진현종 옮김. 출판사: 랜덤하우스코리아
3<<헤세의 사랑 (사랑하는 사람은
행복하다)>>,헤르만 헤세 , 폴커 미헬스 엮음, 이재원 옮김 출판사: 그책
인터넷자료-기사 출처:
잡코리아www.jobkorea.co.kr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