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계획서 막장 드라마 시청동기와 삶 만족도, 현실인식 정도에 따른 시청량 연구
[연구계획서] 막장 드라마 시청동기와 삶 만족도, 현실인식 정도에 따른 시청량 연구.hwp |
목차 제 1장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제 2장 선행연구 검토 1. 미디어 이용에 대한 이론과 충족연구 2.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동기와 충족연구 3. 막장드라마의 이용과 충족 제 3장 연구문제 1. 연구문제 2. 중요술어의 정리 제 4장 연구방법 1. 연구설계와 절차 2. 연구변인 측정척도와 구성 <부록 : 설문지> <참고논문> 본문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한국사회에서 텔레비전 드라마의 중요성은 굳이 다시 언급하지 않아도 될 정도이다. 새로운 매체환경 속에서도 텔레비전은 여전히 가장 많은 수용자가 가장 대중적으로 접하는 매체이며, 드라마는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프로그램 장르이자 대중적인 인기 속에 일반적으로 소비되는 문화상품(유세경김명소이윤진, 2004)이기 때문이다. 한동안 우리나라 텔레비전 드라마의 화두는 막장드라마였다. 막장 드라마는 불륜, 복수, 납치, 폭력 등 선정적인 소재를 주로 쓴다. 그러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내용 위주의 제작이 시청률로도 연결되고 있다. 사람들은 막장드라마를 ‘욕하면서도 본다’고 말한다. 이는 드라마 내용 전개가 억지스럽고, 선정적인 부분이 과도함을 알고 있음에도 이에 상관하지 않고 챙겨보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막장드라마란 용어가 생긴 지 몇 년 되지 않았음을 생각할 때 이에 대한 정의와 인기요인 등 심층적인 분석 자료가 미비한 상태다. 네이버 오픈사전에는 막장드라마를 ‘얽히고설킨 인물관계, 무리한 상황설정, 자극적인 장면 등으로 전개되는 드라마를 총칭하는 말’로 새로 정의했다. 또한 ‘평생 겪을까 말까한 에피소드가 수십 분에 한 번씩 보여지곤 한다’는 부연설명도 덧붙였다. SBS <조강지처 클럽>은 온 가족 구성원이 불륜을 행한다. SBS 주말드라마 <신기생뎐>은 사라진 기생집을 배경으로 한 드라마다. 자극적인 소재 때문에 시청자들에게 지속적으로 비난을 받았다. 극이 전개되면서 할머니 귀신, 아기 귀신, 장군 귀신이 등장한다. 그러나 기존의 이야기와는 전혀 상관없이 귀신에 빙의돼 희화화 되는 아수라의 모습을 보여주는 정도가 지나쳐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제재를 받기도 했다. 본문내용 과 충족연구 2.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동기와 충족연구 3. 막장드라마의 이용과 충족 제 3장 연구문제 1. 연구문제 2. 중요술어의 정리 제 4장 연구방법 1. 연구설계와 절차 2. 연구변인 측정척도와 구성 <부록 : 설문지> <참고논문> 제 1장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한국사회에서 텔레비전 드라마의 중요성은 굳이 다시 언급하지 않아도 될 정도이다. 새로운 매체환경 속에서도 텔레비전은 여전히 가장 많은 수용자가 가장 대중적으로 접하는 매체이며, 드라마는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프로그램 장르이자 대중적인 인기 속에 일반적으로 소비되는 문화상품(유세경김명소이윤진, 2004)이기 때문이다. 한동안 우리나라 텔레비전 드라마의 화두는 막장드라마였다. 막장 드라마는 불륜, 복수, 납치 참고문헌 김정기(1995). 대학생 수용자의 텔레비전 시청동기 연구. 『한국언론학보』 35호. 오명환(1991). TV 가족대상드라마 신화의 붕괴와 전환기의 모색. 『방송연구』. (2009). 방송전공 학생의 체험학습을 위한 방송박물관의 기능 활성화 연구. 유세경(1998). 청소년의 TV의전유형과 시청행위와의 상호관련성 연구. (2004).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동기와 태도 연구. 유세경김명소이윤진(2004).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동기와 태도 연구. 『한국방송학회』18-1호. 이수연(1995). 텔레비전 드라마의 즐거움 : 남성 시청자와 모래시계. 임양준(2009). 집단적 갈등 이슈에 대한 방송뉴스 프레임 비교연구. 조형(1991). 주부대상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나타난 여성항 연구: 가족일성의 영역을 중심으로. 『방송조사연구보고서』 24집. Blumler, J. D.(1979). The political effects of television. In J.D. Holloran. Rubin, A. M.(1984). Ritualized and instrumental television viewing Journal of Communication. 34(3).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