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학방법론 연구계획서 한국사회의 외국인에 대한 편향된 시각
[정치학방법론 연구계획서] 한국사회의 외국인에 대한 편향된 시각.hwp |
목차 목 차 Ⅰ. 문제제기 Ⅱ.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1. 설문조사 (1) 권위주의 (2) 자민족 중심주의 (3) 인종 차별 (4) 외국인(범죄)에 대한 공포 2. 심층면접 가. 외국인 인터뷰 나. 한국인 인터뷰 참고 문헌 본문 2009년 기준 우리나라의 외국인 이주민(불법체류자 포함)은 1,106,884명으로 이미 100만을 넘어섰으며, 주민등록 인구의 2.2%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대표적인 외국인 밀집지역인 서울 영등포구나 경기 안산시 단원구의 경우 인구 1000명 당 외국인 수가 80명을 넘어선 상태이다. 정부는 이 같은 추세가 계속될 경우 2020년에는 외국인 인구가 176만6900여 명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렇게 되면 인구 1000명 당 35.8명이 외국인이 되는 셈이다. 서운석,「한국인의 다문화 인식 현황: 연령별 비교를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문화와평화 제4권 1호, 2009. 이처럼 외국인들이 우리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과연 그들을 받아들일 준비가 돼있을까. 아니면 여전히 구호들만 난무하고 있는 상황일까. 이와 관련해 서울 YWCA가 2008년 5월부터 12월까지 서울지역 13세 이상 4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한국인 스스로가 생각하는 다문화 지수는 100점 만점에 46.3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은 가야 할 길이 멀다는 뜻이다. 한국인 스스로가 생각하는 다문화 지수는 100점 만점에 46.3점으로 아직은 미흡한 수준이다. 그리고 더욱 흥미로운 사실은 한국인 스스로 ‘특히 ‘한국인들은 외국인 이주자에 대해 편견이 심한 편이다’는 응답이 3.84점으로 높게 응답하며 이주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많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더욱 흥미로운 것은 백인에 대해서는 사회적 거리감을 크게 느끼지 못한다고 답한 반면, 동남 아시아인이나 중국인, 외국인노동자 등은 사회적 거리감이나 감성적 인식 모두에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외국문화에 대한 사회적인 편견도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과 기술의 발달로 국가 간, 민족 간의 거리는 가까워졌으며 이러한 양상은 본문내용 익에 눈이 멀어 한민족을 말살하려고 의도했던 매국노들은 국민과 역사 앞에 심판이 있으리라.” 이 카페에는 결혼이주여성이나 외국인노동자를 쓰레기로 비하하며 범죄인 집단으로 매도하는 글들이 넘쳐난다. 더군다나 한국 현실 정책상의 문제들 역시 체류 외국인 탓으로 돌리려는 사회적 움직임 또한 보이는 현실이다. 전세난을 외국인에게 영주권을 주는 문제와 결부시켜 생각하는가 하면, 대대적 취업난 역시 외국인 노동자가 그 원인이라는 주장이다. 포털사이트에는 이 카페 외에도 다문화주의를 배격하는 인터넷카페들이 여럿 개설돼 있다. 흥미로운 사실은 한국 사회 내부의 다문화정책 반대 움직임의 활동들을 살펴보면 백인에 대해서는 호의적이지만 흑인이나 동남아, 서남아인에 대해서는 차가운 시선을 보내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참고 문헌 -김상학,「소수자 집단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한국사회조사연구소 사회연구,2004. -김석호,「외국인 노동자의 한국 사회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8. -김혜숙,「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지는 가치가 소수집단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2007 -서운석,「한국인의 다문화 인식 현황: 연령별 비교를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문화와평화 제4권 1호, 2009. -임희섭,『한국의 사회변동과 가치관, 나남출판, 2003.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