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1.1. 목적 및 의의 1.2. 표본 선정 및 방법 1.3.
설문지 구성
2. 분석 결과 2.1. 빈도 분석 2.2. 분류별 전공만족에 대한 평균 및 분산 분석을 통한
비교. 2.2.1. 전공선택 이유에 따른 전공만족도 비교 2.2.2. 학년에 따른 전공만족도 비교 2.2.3. 재학학기에 따른
전공만족도 비교 2.2.4. 누적평점에 따른 전공만족도 비교 2.2.5. 전공 계열(인문사회계열, 자연공과계열)에 따른 전공 만족도
비교 2.2.6. 소속단과대학에 따른 전공만족도 비교 2.2.7. 진로와 전공과의 연관성 2.2.8. 교수님 강의 만족도에 따른
전공만족도 비교 2.2.9. 단과대별 강의만족도 평균 비교 2.2.10. 전과 희망 유무에 따른 우울감 분석 2.2.11.
진로에 따른 우울감 비교 분석
3. 결론 3.1. 결론 및 요약 3.2.
한계점
본문 2.2.9. 단과대별 강의만족도 평균 비교
앞서 교수님의 강의만족정도와 전공만족정도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이번에는 단과대별로 강의만족도 평균을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유의확률 0.800로 단과대별로
강의만족도에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귀무가설을 기각할만한 충분한 근거가 없다고 할 수 있다. 평균을 보면 서울대학생들은 단과대를 불문하고 강의에
대해 크게 만족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학교에 비해 많은 과제량과 어려운 수업 때문이라고 추측해볼 수 있지만, 중고등학교 때도 학교
수업에 크게 만족하지 않은 경험에 비추어볼 때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수업을 크게 좋아하지는 않는 것이라는 분석도 해볼 수 있다.
1)
분산분석 H0: 단과대별 강의만족도는 거의 비슷할 것이다. H1: 단과대별 강의만족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집단-간 .756 3 .252 .335 .800 집단-내 104.601 139 .753
합계 105.357 142
2)
등분산 가정 Levene
통계량 자유도1 자유도2 유의확률 .498 3 139 .684
3)
기술통계
N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인문대 28 3.5357 .74447 1.00 5.00 사회대 35 3.6286 .91026 2.00 5.00 자연대 33 3.5758 .90244 1.00 5.00 공대 47 3.7234 .87730 1.00 5.00 합계 143 3.6294 .86136 1.00 5.00
2.2.10.
전과 희망 유무에 따른 우울감 분석
1) 분산분석 H0: 전과 희망여부와 우울감은 상관이 없을 것이다. H1: 전과
희망여부와 우울감은 상관이 있을
것이다. (우울지수)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집단-간 307.616 4 76.904 1.326 .264 집단-내 7714.507 133 58.004
합계 8022.123 137
본문내용 별
전공만족에 대한 평균 및 분산 분석을 통한 비교. 2.2.1. 전공선택 이유에 따른 전공만족도 비교 2.2.2. 학년에 따른
전공만족도 비교 2.2.3. 재학학기에 따른 전공만족도 비교 2.2.4. 누적평점에 따른 전공만족도 비교 2.2.5. 전공
계열(인문사회계열, 자연공과계열)에 따른 전공 만족도 비교 2.2.6. 소속단과대학에 따른 전공만족도 비교 2.2.7. 진로와
전공과의 연관성 2.2.8. 교수님 강의 만족도에 따른 전공만족도 비교 2.2.9. 단과대별 강의만족도 평균 비교 2.2.10.
전과 희망 유무에 따른 우울감 분석 2.2.11. 진로에 따른 우울감 비교 분석 3. 결론 3.1. 결론 및 요약 3.2.
한계점 1. 서론 1.1. 목적 및 의의 대학교의 학업의 특징은, 자신의 선택한
전공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