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5월 28일 화요일

강수강수량강수에코강수의 개념,형태, 강수의 형성과정,습도, 지연상관된 광역규모 예측인자 지역강수량 계절예측, 청천대기 강수에코

강수강수량강수에코강수의 개념,형태, 강수의 형성과정,습도, 지연상관된 광역규모 예측인자 지역강수량 계절예측, 청천대기 강수에코
강수의 개념, 강수의 형태, 강수의 형성과정, 강수와 습도, 지연상관된.hwp


목차
Ⅰ. 개요

Ⅱ. 강수의 개념

Ⅲ. 강수의 형태
1. 대류성 강수
2. 지형성 강수
3. 전선성 강수

Ⅳ. 강수의 형성과정
1. 빙정설
2. 병합설

Ⅴ. 강수와 습도
1. 습도
1) 절대습도
2) 상대습도
3) 혼합비
4) 포차
5) 건조기후지역
2. 습도의 변화
1) 기온하강
2) 응결온도 = 露點(노점)

Ⅵ. 지연상관된 광역규모 예측인자 이용한 지역강수량의 계절예측

Ⅶ. 청천대기로부터의 강수에코

참고문헌

본문
Ⅰ. 개요
물방울이 공기 중에서 낙하할 때는 공기저항이 작용하며, 이 저항은 공기에 닿는 면적에 비례하고 낙하가 늦을 때에는 낙하속도에, 낙하가 빨라지면 용적에 비례하기 때문에 물방울이 작을수록 상대적으로 공기저항이 커지므로 낙하속도는 늦어진다. 여러 가지 연구된 결과에 의하면 물방울 직경에 따른 낙하속도는 직경이 0.01mm일 때는 0.2cm/s에 불과하나 0.1mm일때는 27cm/s, 1mm일 때는 4m/s, 5mm일때 9m/s 가 된다.
여기에서 물방울이 0.1mm 이하라면 낙하속도는 느리나, 만약 낙하속도가 10cm/s라고 해도 높이 1,000m 구름속의 구름입자가 지상에 떨어지기까지는 3시간 정도 걸리게 된다. 구름 중에는 상승기류가 있어서 이정도의 낙하 속도에서는 떨어지지 않지만 1mm 이상 되면 4분 정도 걸려서 떨어지므로 비로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구름입자와 비 입자를 확실히 구별 짓기는 어렵지만 보통 물 입자의 직경이 0.1mm 이하인 경우를 구름입자, 이보다 클 때를 비 입자로 하고 있다.
중국의 고전 "서유기" 에는 손오공이 구름을 타고 하늘을 나는 이야기가 있다. 유유히 하늘에서 흘러가는 구름을 보면 그런 생각이 드는 것도 무리가 아닐 것이다. 만약 인간이 분신 기술이 있다고 하면 그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다. 천억 개로 나누면 1개가 구름입자의 크기가 되므로 공중에 떠있고 바람에 흘러가게 된다. 물론 이런 이야기는 불가능하겠지만 큰 낙하산을 사용하면 하늘을 떠다니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다. 소나기 구름 중에서는 상승기류 30m/s 이상에 달하므로 낙하산을 붙들고 그 속에 들어가면 높은 하늘로 날아오를 것이며 지금은 행글라이더로 하늘을 나는 사람도 있다.

본문내용

Ⅲ. 강수의 형태
1. 대류성 강수
2. 지형성 강수
3. 전선성 강수
Ⅳ. 강수의 형성과정
1. 빙정설
2. 병합설
Ⅴ. 강수와 습도
1. 습도
1) 절대습도
2) 상대습도
3) 혼합비
4) 포차
5) 건조기후지역
2. 습도의 변화
1) 기온하강
2) 응결온도 = 露點(노점)
Ⅵ. 지연상관된 광역규모 예측인자 이용한 지역강수량의 계절예측
Ⅶ. 청천대기로부터의 강수에코
참고문헌
Ⅰ. 개요
물방울이 공기 중에서 낙하할 때는 공기저항이 작용하며, 이 저항은 공기에 닿는 면적에 비례하고 낙하가 늦을 때에는 낙하속도에, 낙하가 빨라지면 용적에 비례하기 때문에 물방울이 작을수록 상대적으로 공기저항이 커지므로 낙하속도는 늦어진다. 여러 가지 연구된 결과에 의하면 물방울 직경에 따른 낙하속도는 직경이 0.01mm일

참고문헌
강인식ㆍ허창회ㆍ민경덕(1992), 한반도 여름철 강수량의 장기예측, 한국기상학회지, 28
강원도 보건환경연구원 수질자료(2000)
허창회ㆍ강인식(1988), 한국 지역 강수의 변동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24
환경부, 물은 생명, 우리의 미래 - 21세기 국가 경쟁력, 물에 달려있습니다
Koenig(2006b), Berlin`s water harvest . In : Water 21, Magazine of the International Water Association, London, UK.
Mikio Kasahara, 박정호ㆍ최금찬(1996), 강수에 의한 대기 에어로졸 입자의 세정특성, 한국대기보전학회지 제12권 제2호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