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례 제 1장 서론 1.1 바다환경 ‘간척/간석의 문제’ 주제선정 이유 1.2 레포트의 방향
제 2장 간척의 현황 2.1 간척과 간석의 뜻 2.2 우리나라의 갯벌과 외국의 갯벌 2.3 우리나라의 간척 1) 간척의 역사 2) 근대의 간척현황 2.4 외국의 간척현황 1) 네덜란드 2) 독일 3) 일본 2.5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간척사업 1) 시화호 2) 새만금지구 2.6 간척의 긍정적인 면 2.7 간척의 부정적인 면
제 3장 문제점과 대안 3.1 간척과 관련된 외국의 정책 1) 미국의 습지관련 정책 2) 바덴만 연안 3국의 갯벌 보호 정책 3) 일본의 습지보호 3.2 간척과 관련된 우리나라의 정책과 문제점 3.3 대안 1) 국토이용관리법의 수정 2) 연안생태계의 수용능력 계산 3) 공유수면법의 통합 4) 특별매립의 억제 5) 행정적 대안의 병행 6) 갯벌의 안식년 7) 갯벌의 의해 8) 생태공원화 9) 전문가 양성
제 4장 결론 참고문헌
본문 제 1장. 1.1 바다환경 ‘간척/간석의 문제’ 주제선정 이유 내 고향은 완도라는 아름다운 섬이다. 태어났을 때부터 바닷가에서 자랐고, 현재 살고 있는 집 역시 간척지 위에 자리 잡고 있다. 땅이 좁아서 바다를 매우고 사람들이 필요한 시설을 만든다는 일에 부정적으로 생각해보지 않았다. 처음에는 내가 살고 있는 간척지에 관해서 좀 더 알아보고 싶은 마음에 이 주제를 선정했다.
1.2 레포트의 방향 기억을 더듬어보니 시화지구 간척지의 환경오염이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던 적이 있었다. 전라북도에 있는 새만금 지구의 간척개발이 중단되어 잠시 멈췄던 적이 있었다. 이런 저런 일들이 생각났고 갑자기 궁금해졌고 여러 자료를 찾아보면서 모든 일이 쉬운 일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개발과 보존이라는 의견의 충돌 때문에 이미 시작되었고 90%나 진행된 공사가 중단되었다니, 외국에서도 이러한 일들이 있었을까? 이미 시작된 사업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조금은 답답하다. 처음부터 하지 않았으면 될 것을 왜 처음에 조사할 때는 말하지 않고 갑자기 사회적 이슈가 되니까 너도나도 반대를 하는지. 이번 레포트에서는 우리나라의 간척의 역사와 현재 우리나라의 갯벌 현황을 알아보고 다른나라와 비교 생각해보고자 한다. 또한 시화호와 새만금간척지를 중심으로 현시대에 대두되고 있는 간척, 간석의 문제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앞으로 간석지를 보호하기 위해서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하는지,외국의 경우를 알아보고 생각해보고자 한다.
본문내용 1 제 2장 간척의 현황 2.1 간척과 간석의 뜻2 2.2 우리나라의 갯벌과 외국의 갯벌2 2.3 우리나라의 간척9 1) 간척의 역사 2) 근대의 간척현황 2.4 외국의 간척현황12 1) 네덜란드 2) 독일 3) 일본 2.5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간척사업14 1) 시화호 2) 새만금지구 2.6 간척의 긍정적인 면21 2.7 간척의 부정적인 면
참고문헌 참고문헌 <참고문헌 및 논문> 고철환 엮음, 2009, 『한국의 갯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박영한, 오상학, 2004, 『조선시대 간척지개발』, 서울대학교출판부 홍욱희, 2004, 『3조원의 환경논쟁 새만금』, 지성사 조은기, 2009, 『농촌불패』, 모던플러스 김종문, 2000, 『갯벌탐사도감』, 예림당 김수일, 1997, 순천만 조류환경과 생태공원화 방안『지역과 전망』, 일월서각 갯벌의 효율적 이용과 보존을 위한 연구 1998.2 한국해양연구소 우리나라 간척지의 농업현황 및 토양해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세계 주요국가의 갯벌백서 2001.12 해양수산부 시화호 정책 사례 보고서 2007 중앙공무원교육원 새만금 간척종합개발사업 사례 2006 중앙공무원교육원 Comm Wadden Sea Secretariat(1992)
논문 : 일본의 갯벌 관리 소개, 김도희 한국해양환경공학회 연안역관리체제를 통한 습지보전과 이용, 이지현(1996) 한국의 자연연구와 국립자연사박물관의 발전방향, 김준호(1990) 한국갯벌의 생태계와 보존, 강성길 (1998) 새만금 간척지 친환경 조성방안, 조중석(2003) 독일 생태 시인과 박영근 생태시 비교, 박정근(2010)
학술지 갯벌의 오염과 간척산업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