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제 1장 서론제 2장 본론 유전자 조작 생물 제 1절 유전자 조작 생물 제 2절 유전자 조작 기술 제 3절 유전자 조작 생물의 역사 제 4절 유전자 조작 생물의 활용분야 4. 1 바이오 의약품 4. 2 식품농산물 4. 3 산업바이오 4. 3. 1 LMO에 의한 바이오에너지 산업 동향 4. 4 축산 제 3장 유전자 조작 생물의 안정성 논란 제 1절 유전자 조작 생물의 안정성 논란 사례 1. 1 L-트리토판 사건 1. 2 LMO 삽입 유전자의 장기 내 전이 의혹 1. 3 LMO 옥수수 섭취 시 콩팥에의 이상현상 제 2절 유전자 조작 생물의 인체위해성 2. 1 외래유전자의 장내 미생물 전이 여부 제 3절 유전자 조작 생물의 환경위해성 2. 1 해충저항성 옥수수의 위험성 2. 1. 1 유럽 내 국가들의 MON810 재배 금지상황 2. 1. 2 독일의 MON810 금지령에 따른 환경위해성 논란 사례 제 4장 해결방안에 대한 고찰 4. 1 GMO 논쟁의 일반적인 해결방안 4. 2 GMO 논쟁과 시민참여 제 5장 결론 및 소감
본문 제 1장 서론
내가 유전자조작 식품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건 2007년 7월 4일 방송된“KBS환경스페셜 - 위험한 연금술 유전자 조작 식품”라는 다큐멘터리를시청한 후 부터였다. 그 다규멘터리는 유전자 조작이 어떠한 기술이고 이 기술이 얼마나 큰 재앙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우리 대한민국이 유전자 조작식품에 얼마나 무방비상태로 노출 되어 있는지에 대해 조사한 내용이었다. 나는 그동안 유전자 조작 식품(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은 인체에 안전하며 인류를 빈곤과 기아로부터 해방시켜줄 구세주로만 배워왔고 또 그렇게 믿어왔었다. 한마디로 위대한 과학의 힘으로 인류를 구하는 기술이라고만 생각했으며 나도 공학도로써 인류에 도움이 되는 기술을 개발해야겠다는 결심마저 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이 다큐멘터리를 보고 그 결심은 산산 조각나게 되었다. 유전자 조작기술은 매우 불안정한 기술이었다. 유전자 조작을 하는 기술은 지금까지 크게 세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세포벽을 녹이는 박테리아를 이용해 유전자를 이식하는 기술이고 나머지 하나는 공기총에 유전자를 넣어 직접 세포로 발사하는 방법으로 이는 어떠한 세포에 몇 개의 유전자가 들어가는 지 알 수가 없는 매우 불안정한 기술이다. 식물에서 동물, 동물에서 식물로 심지어는 사람과 동물뿐만 아니라 식물에게 유전자를 이식하는데 완전히 구성자체가 다른 생명체들의 유전자를 이식하는 과정에서 얼마나 큰 위험이 있을지 현재의 기술로는 알 수 없으며 그렇기 때문에 더 무서운 기술인 것이다. 실제로 이 기술을 통해 자연생태계의 균형이 깨지고 돌연변이가 생겼으며 가축들이 의문사 하며 심지어 몇몇 인간들에게는 갑작스런 알레르기 반응까지 보이는 등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그런데 그런 위험한 기술로 만든 식품들이 우리의 식탁뿐만 아니라 평소에 먹던 과자, 과일 같은 모든 먹거리에 침투해 있다. 다른 나라들은 유전자 조작식품을 표기하도록 하여 국민들이 안심하고 식품을 구매할 수 있지만 한국은 그런 법이 없어 유전자조작 여부가 전혀 밝혀져 있지 않다. 미국에 의존하고 있는 옥수수와 콩(옥수수 99%, 콩 93% 미국에서 수입)은 두부, 된장, 간장, 식용유와 같은 가공제품에 전부 쓰이고 있다. 이토록 대한민국은 유전자 조작 식품에 완전무방비 상태라는 사실을 알게 되니 끔찍한 기분이 들었다.
현재 GMO농산물에 대한 국제적 논란의 핵심쟁점 사안은 이의 인체 및 생태계에 미치는 잠재적 위험의 유무에 있는 바, 주요 잠재적 위험성은 크게 인체에 대한 직접적인 위험과 환경에 대한 위험으로 나눠진다. 이러한 GMO의 잠재적 위험성에 대해서는 많은 과학자들도 염려하며, 대비 중에 있으나, 현재의 세계적 기술수준으로는 GMO의 유해성에 대한 명확한 검증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생명공학제품의 개발에서부터 상업화단계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별로 철저한 안전성관리체계가 마련되어야 하며 새로운 특성을 가진 제품의 환경영향 및 식품안전성평가가 철저한 평가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제 2장에서는 유전자조작생물의 정의와 역사, 활용되어 지고 있는 분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3장에서는 유전자 조작생물들에 대해 어떠한 안전성 논란 사례들이 있었는지 인체적, 환경적 위해성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4장에서는 해결방안에 대해 여러 가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참 고 문 헌 ○ Watkins, K. 1999. Free Trade and Farm Fallacies, Third World Resurgence 100/ 101, The Third World Network, pp 33∼37 ○ 김윤식. 1999. 농업전망 1999, 제8장 유전자 변형농산물(GMO)의 동향과 전망, pp 199∼216. 한국 농촌경제연구원 ○ 가드너. 1996. 유전학, pp 112∼113, 개정 8판, 이정주, 노현모, 김상구, 서동상 역. 범한서적, 서울 ○ Memorandum, Summary of Consultation with Calgene, Inc Concerning FLAVRSAVR M Tomatoes , May 17, 1994. HF S - 206 t o HF S - 200 ○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1999. 『유전자 전환작물의 안전관리 방안에 관한 세미나』, 유전자 전환작물 안전관리연구자료 1999- 1, pp 81∼127 ○ 김윤식, 박기환, 이두순. 2000. 농업전망 2000, 제4장 유전공학의 농업적 이용 동향과 전망, pp 63∼9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1999. 유전자 전환작물의 안전성평가 사례연구, 유전자 전환작물 안전관리연구자료 1999- 2, pp 2∼21 ○ 한국식품위생연구원. 2008. 유전자조작식품의 안전성평가기술의 개발, pp 9∼84 ○ 산업 자원부. 2008. 생명공학 안전성 의정서에 관련한 생명공학 제품 및 변형 생물체의 수출입 현황 등에 관한 연구 ○ 박선희. 2000. 소비자를 위한 식품의약품 정보,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안전성, 가을호, pp 25∼29. 식품의약품안전청 ○ 김은미. 2003. 유전자변형 식품의 위험인지와 위험수용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학위 논문 ○ 이명화. 2003. 농산물 정책의 변화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정치외교대학원 학위 논문 ○ 김태형. 2000.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유용성 및 유해성에 대한 비교분석.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학위 논문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