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5월 26일 일요일

보험론 국제금융손실(International Loss Financing)

보험론 국제금융손실(International Loss Financing)
[보험론] 국제금융손실(International Loss Financing).hwp


목차
1. Internal loss financing
2. Self insurance
3. Captive Insurance


본문
1. loss financing
Risk Map 상 ①에 해당하는 리스크의 경우 사용하는 리스크 관리이다. 그 방법은 손실을 대비하여 돈을 저축해 두는 것이다. 위험의 발생이 빈번하고(high frequency), 그 심도는 작은 경우(small severity)에는 Internal loss financing 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1) Motivations
보험은 제한적인 단점이 있지만, risk 대비 비용은 적은 반면에 보상액은 크기 때문에 좋다. 저축은 범용성(보험처럼 특별한 경우만이 아니라)이라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risk에 대한 cover를 위해서는 전액이 다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 이처럼 Internal loss financing은 보험과는 별개의 개념이다. 기업에서 이를 사용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가 있다.
①보험가입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 업무 특성상 보험가입이 어려운 경우나, 보험료가 너무 비쌀 경우이다. ② 보험보다 이점이 많은 경우. 기업입장에서는 비용이나 안정성, 효율성등의 측면에서 유리하다면 굳이 보험계약에 의존할 필요가 없다.


본문내용
Risk Map>
1
Frequency
(probability)
high

ex)internal loss financing

low

ex)stolen property
unemployment risk*
*injury risk

death risk*
0
small
large
Severity
(Impact)
Risk Map에는 각 셀에 해당하는 Risk에 따라 4가지의 Risk Management tool 이 존재한다. 가장 중대한 위험은 이다. 그래서 이 리스크는 피해야만 한다. 따라서 ③에 해당하는 위험에 알맞은 전략은 Risk avoidance 이다. ②에 적합한 전략은 Retained, 에 대응하는 일반적인 전략은 바로 보험 즉, Risk transfer 이다.
위험 유형 에 필요한 것은 Risk con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