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6월 4일 화요일

고전문학 고려가요의 현대적 재해석

고전문학 고려가요의 현대적 재해석
[고전문학] 고려가요의 현대적 재해석.pptx


목차
1.서론
2.문학적 실상
3.후대적 수용
4.결론


본문
1.고려가요란?
정의
고려시대 창작된 시가로,
민중 사이에 널리 전해진 속요.

명칭
여요, 고려가사, 고려장가

정착
민요가 궁중의 속악가사로 수용
<악장가사><악학궤범><시용향악보>

2.속요
의미
가곡, 시조에 비해 정제되지 못한 노래
고려시대 가요의 특정한 장르 명칭

내용
평민들의 소박하고 진솔한 감정 표현
체념적, 해학적, 서정성

형식
정형시에서 후렴구가 소멸,
정격형 → 변격형


본문내용
해진 속요.
정의
여요, 고려가사, 고려장가
명칭
1. 고려가요란?
민요가 궁중의 속악가사로 수용
<악장가사><악학궤범><시용향악보>
정착

가곡, 시조에 비해 정제되지 못한 노래
고려시대 가요의 특정한 장르 명칭
의미
평민들의 소박하고 진솔한 감정 표현
체념적, 해학적, 서정성
내용
2. 속요
정형시에서 후렴구가 소멸,
정격형 → 변격형
형식

고려시대의 평민, 민중층
3. 작자 및 수용자층
원작자
담당층
왕과 권문세족 중심의 상층 지식인 계층
즉, 속요의 밑바탕인 민요는 하층민의 집단적인 공동 작품으로
작자가 알려지지 않은 것이 대부분

4. 형식
대부분 분절식, 분절마다 후렴구
여러 연이 중첩되어 한 가요를 이룸.
음수율 - 3.4음절 우세, 음보율3음보 多
‘청산별곡’’가시리’, 3음보격에 의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