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작가 및 작품소개 1.1 작가소개 1.2 인상 깊은 구절 1.3 제목의 의미 2. 영화 ‘밀양’과 문학작품 비교 3. 작품특징 3.1 등장인물 3.2 주인공의 심리적 변화과정 3.3 문체적 특징 4. 주제 및 감상
본문 1.1 작가소개 이청준 [李淸俊, 1939.8.9~2008.7.31] 출생 : 전라남도 장흥 학력 :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 학사 주요작품 :《이어도》(1974),《잔인한 도시》(1978),《서편제》(1976) 주요수상 사상계 신인상《퇴원》(1965) 제12회 동인문학상《병신과 머저리》(1968) 제2회 이상문학상 《잔인한 도시》(1978) 대한민국문학상 《비밀화교》(1986) 이산문학상 《자유의 문》(1990) 금관문화훈장 (2008)
1.2인상 깊은 구절 하지만 나는 이제 그것으로 아내의 그간의 지옥 같은 절망의 정체를 알아차릴 수 있었다. 비로소 그 참담스런 절망의 뿌리를 들여다볼 수가 있게 된 것이었다. 아내는 한마디로 그의 주님으로부터 용서의 표적을 빼앗겨버린 것이었다. 그리고 그의 용서의 기회를 잃어버린 것이었다. 아내에겐 이미 원망뿐 아니라 복수의 표적마저 사라지고 없었다. 뿐만 아니었다. 그녀가 용서를 결심하고 찾아간 사람이 그녀에 앞서서 주님의 용서와 구원의 은혜를 누리고 있었다.
주님으로부터 용서의 표적을 빼앗긴 아내
“내가 그를 용서하지 않았는데, 어느 누가 나보다 먼저 그를 용서로써 용서하냔 말이예요.”
소설 본문에도 나오는 이 말은 너무나 절망적인 아내의 목소리이고 이 소설의 가장 중요한 물음이다.
본문내용 공의 심리적 변화과정 3.3 문체적 특징 4. 주제 및 감상 개 요 2
1. 작가 및 작품소개 3
1.1 작가소개 이청준 [李淸俊, 1939.8.9~2008.7.31] 출생 : 전라남도 장흥 학력 :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 학사 주요작품 :《이어도》(1974),《잔인한 도시》(1978),《서편제》(1976) 주요수상 사상계 신인상《퇴원》(1965) 제12회 동인문학상《병신과 머저리》(1968) 제2회 이상문학상 《잔인한 도시》(1978) 대한민국문학상 《비밀화교》(1986) 이산문학상 《자유의 문》(1990) 금관문화훈장 (2008) 4
하지만 나는 이제 그것으로 아내의 그간의 지옥 같은 절망의 정체를 알아차릴 수 있었다. 비로소 그 참담스런 절망의 뿌리를 들여다볼 수가 있게 된 것이었다. 아내는 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