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일운동과 천도교 및 조국광복회, 항일운동과 의병활동, 항일운동과 무장독립군,
항일운동과 천도교 및 조국광복회, 항일운동과 의병활동, 항일운동과 무장독립군,.hwp |
|
목차 Ⅰ. 서론
Ⅱ. 항일운동과 천도교 및 조국광복회
Ⅲ. 항일운동과
의병활동
Ⅳ. 항일운동과 무장독립군 1. 봉오동 전투【1920. 7】 2. 청산리 대첩【1920. 10】 3. 간도
참변【1920. 11-12】 4. 자유시 참변【1921】 5. 독립군의 재정비(3부의 성립)【1923-24】 6. 미쓰야
협정【1925】 7. 한중 연합 작전【1931년 이후~】 1) 민족주의 진영 2) 사회주의 진영
Ⅴ. 항일운동과
김일성 1. 항일 유격운동의 시작 1) 1932. 봄 2) 1933. 초 3) 1934. 초 4)
1935.2.27-3.3 2. 항일민족통일전선과 조국광복회 1) 1936.3 2) 1936.6-7 3)
1936.8-9 4) 1937.6 3. 월경과 소련에서의 생활 1) 1940.10 2) 1942.7 3)
1945.7 4) 1945.8 말 내지 9.18일
Ⅵ. 항일운동과 완도지역 1. 완도상회 사건 2. 완도면 대신리
신우회 사건 3. 전남운동협의회 사건
Ⅶ. 항일운동과 소난지도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만주땅의 청산리 대첩과 국내외에서 벌어진
3․1만세항쟁의 거대한 승리는 역사에서 언제나 칭찬받을 일이다. 일본은 우리 민족이 만 35년 동안에 걸쳐 망했었다고 항상
강조했었다. 그러나 항일애국자들은 결코 망국을 인정하지 않았다.(그렇기에 망국을 인정한 상해임시정부는 그런 측면에서도 정당성이 없는 조직이다.
광무황제의 국상 중에 역적행위를 한 것도 문제지만, 일제의 침략을 사실상 추인한 행위를 한 것이 임시정부 수립이다.) 망국을 인정하지 않는
오기의 민족혼에 의해 청산리 대첩을 승리로 이끈 애국자들은, 그러나 엄청난 대군을 동원해서 쳐들어오는 일본침략군에 밀리고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그렇지만 독립군들은 곳곳에서 밀려나고 곤혹스런 상황이 됨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항복할 때까지 끊임없이 항쟁을 계속했다. 흑룡강 연변을 따른
시베리아 벌판은 곳곳이 독립군들의 기지였다. 그리고 다수가 중공군의 팔로군이 되어 항일전을 폈고 장개석 군대와 공동전선을 펴기도 했다. 그리하여
조국을 다시 탈환한 영광의 날(1945년 8월 15일)을 맞고 개선한 것이다. 조국탈환의 영광의 날에 귀환한 세력은 대다수가 유림층이다.
그러니 유교, 대종교, 천도교로 대변되는 민족종교 세력이다. 여기에 3․1만세항쟁을 전후하여 일제의 신사참배에 반대하여
망명했던 개신교 세력이 함께 항일운동을 하다가 귀국했다. 개신교 세력들은 신민회의 주축이 되기도 하고 만주땅 항일인맥에서도 중요한 일을 많이
했었다.
본문내용 및 조국광복회 Ⅲ. 항일운동과 의병활동 Ⅳ. 항일운동과 무장독립군 1. 봉오동
전투【1920. 7】 2. 청산리 대첩【1920. 10】 3. 간도 참변【1920. 11-12】 4. 자유시
참변【1921】 5. 독립군의 재정비(3부의 성립)【1923-24】 6. 미쓰야 협정【1925】 7. 한중 연합 작전【1931년
이후~】 1) 민족주의 진영 2) 사회주의 진영 Ⅴ. 항일운동과 김일성 1. 항일 유격운동의 시작 1) 1932.
봄 2) 1933. 초 3) 1934. 초 4) 1935.2.27-3.3 2. 항일민족통일전선과 조국광복회 1)
1936.3 2) 1936.6-7 3) 1936.8-9 4) 1937.6 3. 월경과 소련에서의 생활 1)
1940.10 2) 1942.7 3) 1945.7 4) 1945
참고문헌 김동환, 일제하 항일운동 배경으로서의
단군의 위상,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1 박찬승, 일제하 완도(체도)의 항일민족운동, 역사문화학회,
2001 송석창, 한말 항일의병 활동과 그 성격, 동국대학교, 1986 이재화, 항일민족해방운동시기의 민족통일전선운동 : 조국광복회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1988 이은희, 김일성의 항일운동, 숙명여자대학교, 1999 장순휘, 항일 무장독립투쟁의 의미와 과제,
원광대학교, 2009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