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8월 25일 일요일

직무직무태도직무성과직무특성직무분석직무발명직무수행직무만족직무태도, 직무성과, 직무특성, 직무분석, 직무발명, 직무수행, 직무만족 분석(직무특성, 직무분석, 직무발명, 직무수행, 직무만족)

직무직무태도직무성과직무특성직무분석직무발명직무수행직무만족직무태도, 직무성과, 직무특성, 직무분석, 직무발명, 직무수행, 직무만족 분석(직무특성, 직무분석, 직무발명, 직무수행, 직무만족)
직무태도, 직무성과, 직무특성, 직무분석, 직무발명, 직무수행, 직무만족 분석.hwp


목차
Ⅰ. 직무태도

Ⅱ. 직무성과

Ⅲ. 직무특성

Ⅳ. 직무분석
1. 직무분석
1) 직무의 기본적 제특성
2) 직무의 신체적 요건
3) 직무의 정신적 요건
4) 기타의 직무요건
5) 작업환경요건
2. 직무분석의 방법
1) 질문지법
2) 대조리스트법
3) 개인면접법
4) 관찰면접법
5) 집단면접법
6) 기술적회의법
7) 작업일지법
8) 작업참가법
9) 주요 사건법
3. 직무분석의 절차
1) 일반적 관점에서 본 견해
2) 구체적 관점에서 본 견해

Ⅴ. 직무발명

Ⅵ. 직무수행

Ⅶ. 직무만족

참고문헌

본문
Ⅰ. 직무태도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태도 비교에 관한 연구는 그 결과에 따라서 크게 세 범주로 나눠 볼 수 있다.
먼저 정규직에 비해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태도가 부정적으로 나타난 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all과 Gordon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비정규직 여성들이 정규직 여성들보다 직무만족과 몰입이 낮고, 역할갈등을 더 많이 겪고 있으며, 직무에 대한 부담감을 더 크게 느끼고 있다고 한다. Miller와 Terborg의 연구에서도 비정규직 근로자들은 정규직과 비교해서 일, 복지후생, 그리고 직무전반에 걸쳐서 별로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Hom의 연구에서는 비정규직 근로자의 주된 업무는 상당히 주변적이며, 업무의 주변성은 곧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반비례함을 발견하였다. 국내 연구로는 비록 실태조사 성격이기는 하지만 비정규직 근로자가 정규직에 비하여 직장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은미의 연구에서도 비정규직은 정규직에 비해 감정적 및 거래적 몰입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규범적 몰입과 Mowday의 조직몰입측면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처우가 정규직에 비하여 열악하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하겠다. 사회교환이론(social exchange theory)의 관점에서 볼 때, 근로자의 태도와 행동은 그들의 고용형태에 따라 달리 받게 되는 유․무형의 혜택에 대한 조건부 반응으로서 볼 수 있다. 비정규직 근로자는 정규직에 비해 일반적으로 급여 및 복지수준이 낮고, 승진기회가 거의 없고, 지속적인 작업 일정이나 장기고용을 기대하기 힘든 상황에 처해 있다. 이러한 여건에서 비정규직 근로자는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직무태도와 행동을 나타냄으로써, 거래의 균형점을 유지하고자 할 것으로 본다.
그러나 병원에서 근무하는 비정규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Eberhardt와 Shani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비정규직 근로자가 정규직에 비해 오히려 전반적인 직무만족 수준이 높고 조직몰입도 높은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연구는 다른 연구와는 달리, 연구대상이 된 비정규직 근로자들은 대부분이 자발적인 비정규직 근로자들이다. 이런 경우 비정규직 근로자라도 취업동기가 자발적이라면 비정규직의 처우가 나쁘다는 사실을 자신의 선택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에 직장의 처우에 대한 애초의 낮은 기대수준으로 인해서 보다 긍정적인 직무태도를 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직무만족은 기대와 충족의 비교를 통해 결정된다고 볼 때, 처우의 절대적 수준은 비록 열악하더라도 자발적으로 비정규직을 선택한 근로자에게는 주어진 처우가 기대이상이 될 수도 있고, 나아가 비정규직의 장점인 유연한 근무일정, 직장 외 활동을 위한 시간제 근무 등을 고려하면 직무태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가 있을 것이다.
Pearce의 연구에서도 비정규직 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보다 역할 외 행동이 오히려 더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의 비정규직 근로자는 항공엔지니어링분야의 전문직 근로자로서, 정규직 근로자에 비해 근무지 이동을 많이 해야 하고 고용안정은 낮지만 급여수준은 오히려 50%가량이 더 높다. 따라서 이 회사의 비정규 엔지니어링직종은 다른 모든 정규직 근로자들도 고려하고 있는 대안적 경력경로로 고려될 수 있기 때문에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태도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나 비정규직 취업이 자발적이라든지 비정규직 처우가 오히려 높다든지 하는 경우는 일반적이라기보다는 예외적인 경우일 가능성이 더 크다. 보다 일반적인 경우는 비정규직 취업이 비자발적이고, 처우도 정규직에 비하여 열악한 경우라고 본다. 이러한 상황에서의 비정규직의 직무태도 및 행동은 일반적인 경우와는 다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비정규직과 정규직 근로자의 직무태도 및 행동에 차이가 없다는 일련의 연구가 세 번째 범주에 속한다. McGinnis와 Morrow의 연구는 회귀분석에서 인구통계변수 등을 통제한 결과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 사이에는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분위기 인식 등 직무태도에 차이가 없고, 인구통계변수가 직무태도의 대부분을 설명하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그들은 두 집단은 인구통계변수 측면에서는 차이가 나더라도 직무태도 면에서는 유사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본문내용
2) 직무의 신체적 요건
3) 직무의 정신적 요건
4) 기타의 직무요건
5) 작업환경요건
2. 직무분석의 방법
1) 질문지법
2) 대조리스트법
3) 개인면접법
4) 관찰면접법
5) 집단면접법
6) 기술적회의법
7) 작업일지법
8) 작업참가법
9) 주요 사건법
3. 직무분석의 절차
1) 일반적 관점에서 본 견해
2) 구체적 관점에서 본 견해
Ⅴ. 직무발명
Ⅵ. 직무수행
Ⅶ. 직무만족
참고문헌
Ⅰ. 직무태도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태도 비교에 관한 연구는 그 결과에 따라서 크게 세 범주로 나눠 볼 수 있다.
먼저 정규직에 비해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태도가 부정적으로 나타난 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all과 Gordon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비정규직 여성들이 정규직 여성들보다 직무만족과 몰입이 낮고

참고문헌
▷ 박형인 외 2명(2011), 직무소진과 직무태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 이동훈 외 5명(2010), 조직에서의 직무 수행에 따른 성격 5요인 특성의 비교, 한국직업교육학회
▷ 이영안 외 1명(2011), 갈등관리방식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인행정학회
▷ 이태종 외 1명(2011), 성과평가에의 직무분석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 조영선(2012), 직무발명에 대한 정당한 보상과 특허의 무효, 한국법학원
▷ Wang Lin(2011), 직무특성이 창의적행동에 미치는영향, 경북대학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