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소금이란? 2.저염 육제품이란? 3.결론
본문 소금 섭취나트륨 이온 +
염소 이온
체액 항상성 유지 - 체액을 약알칼리성으로 유지 - 혈압 정상화
2. 영양소 대사 -
알칼리성 소화액의 구성 성분
3. 근육의 수축 및 이완 운동에 관여 - 근육으로의 전기 화학적 자극 전달 - 신경전달
물질의 유리 및 재흡수 인체 생명 유지 위한 최소 소금 섭취량: 1.15g/day
WHO(World Health
Organization)는 성인의 1일 소금 섭취량을 5g이하로 제한
조미료, 천연 및 가공식품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소금을 섭취 가공육제품 제조 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첨가물
육제품 제조 시 바람직한 조직감과 맛 위해 소금 첨가
필수적
육제품의 소금 및 sodium 함량: - 다른 식품에 비해 높은 편 - 제품 내 다른 첨가물(sodium
nitrite, sodium erythorbate, sodium tripolyphosphate, MSG 등)에 의해 영향받음 - 제품
종류에 따라, 같은 제품군일지라도 지역 및 국가에 따라 소금함량 상이
본문내용 바람직한 맛 생성 ▶
식품 품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소금 섭취 나트륨 이온 + 염소 이온 체액 항상성 유지 - 체액을 약알칼리성으로
유지 - 혈압 정상화 2. 영양소 대사 - 알칼리성 소화액의 구성 성분 3. 근육의 수축 및 이완 운동에 관여 -
근육으로의 전기 화학적 자극 전달 - 신경전달 물질의 유리 및 재흡수 체내에서의 소금의 기능
인체 생명 유지 위한 최소
소금 섭취량: 1.15g/day WHO(World Health Organization)는 성인의 1일 소금 섭취량을 5g이하로
제한 조미료, 천연 및 가공식품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소금을 섭취 소금 섭취
Na contribution
(%) Ireland UK USA Cereals and cereal products (Bread,
b
참고문헌 소금 대체재인 Potassium lactate와 calcium ascorbate 첨가가 프랑크푸르트 소시지
품질 및 관능 특성에 미치는 영향 -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식품공학과 식품가공학 및 생물공학 전공 / 조 해
미
Reducing Population Salt Intake Worldwide: From Evidence to
Implementation -Feng J. He, Graham A. MacGregor / Wolfson Institute of
Preventive Medicine, Barts and The London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London, United Kingdom
Reducing sodium
intake from meat products - Marita Ruusunen *, Eero Puolanne / Department of
Food Technology, University of Helsinki, P.O. Box 66 (Agnes Sjo¨ bergin katu 2),
FIN-00014 Helsinki, Finland Received 30 June 2004; received in revised form
15 October 2004; accepted 15 October 2004
Nacl, KCl, Potassium Lactate와
calcium Ascorbate의 첨가가 저장 중 저염 돈육 패티의 이화 학적 특성과 관능 특성에 미치는 영향 문성실, 김영태,
진상근, 김일석 ㈜선진 기숙연구소 / 전주산업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http://solarsalt.jeonnam.go.kr/bbs/board.php?bo_table=publicdata&wr_id=19&page=2
http://osoonsoo.documents.co.kr/?p=7676
http://www.kaeri.re.kr/~wonwoo/w99_7/45.htm
Salt
intake and gastric cancer risk according to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smoking, tumour site and histological type - 2010 Cancer Research UK All
rights reserved 0007
0920/10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