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0월 1일 화요일

영양정보 영양보충제 및 기능성식품

영양정보 영양보충제 및 기능성식품
[영양정보] 영양보충제 및 기능성식품.hwp


목차
목차
-기능성 식품의 정의
-관련 사이트 소개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한국기능식품연구원)
-관련 사이트 특징 및 장단점 소개
-관련 사이트 정보 소개
-관련 사이트의 활용도 및 활용 방안 소개


본문
3. 관련 사이트 소개 및 장단점

1)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http://www.hfood.or.kr/) : KHSA
⓵ 보건복지부 법인단체로 허가되면서 권위를 갖추고 사이트의 목표 제시를 명확하게 하고 있다.
⓶ 이용자가 쉽게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보기 편한 사이트맵을 제공하고 잇다.
⓷ 작성자가 단순히 협회로 표기되어 있어서 담당자를 명확하게 알 수 없으며 출처 표기가 따로 되어있지 않다.
⓸ 최근 뉴스나 학술/박람회 정보와 표시 광고 심의에 대한 정보, 법령 등을 볼 수 있도록 게시판이 구분되어 웹사이트 내용의 다양성을 추구한다.
⓹ 사이트 홈의 배너에 건강기능식품 관련 부작용 신고 센터 메뉴가 있으며 신고 방법과 절차를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⓺ 게시판에는 질문 글보다 광고성 글이 많아 관리가 제대로 되고 있지 않음을 보여주며 문의를 하고 싶거나 답변이 듣고 싶은 경우에는 전화나 메일로만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⓻ 기능성식품이나 식품 관련 사이트를 정부 기관, 관련 단체, 신문사, 학술 정보로 구분하여 각 사이트를 연결 해 두었다.
⓼ 회원사를 정회원사와 준회원사로 구분하고 있다. 입회비에 따라 구분이 되어 있는데 이용자에게 상업적인 느낌을 줄 수 있다.
▷장점 : 최근 뉴스나 학술/박람회에 관한 정보를 다양하고 신속하게 제공하고 있다.
▷단점 : 일반 사용자와의 의사 소통이 거의 불가능하여 피드백을 받기가 어렵


본문내용
사이트 정보 소개
-관련 사이트의 활용도 및 활용 방안 소개
1. 기능성 식품의 정의
건강을 호전시키는 생리효과를 가지는 식품 및 그 성분을 가지고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이다. 식품의 3차 기능(생체조절기능)을 강조하여 특정 목적에 작용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으로서 해당 식품의 성분이 신체조절기능을 생체에충분히 발휘하도록 설계하고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2. 관련 사이트 소개
1)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http://www.hfood.or.kr/) : KHSA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는 건강기능식품 관련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활성화를 위한 정책추진과 업계 공동발전을 위한 지원확대를 목표로 정부와 학계 등과 협력하고 있는 협회이며, 협회에서 운영하고 있는 사이트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최신정보 및 협회 역할과 활동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