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2월 5일 목요일

국어방언학 동남 방언 연구

국어방언학 동남 방언 연구
[국어방언학] 동남 방언 연구.hwp


목차
<목차>
1. 들어가며

2. 고대국어의 기층방언
2.1. 음운체계
2.1.1. 음소체계
2.1.2. 운소체계

3. 동남방언의 음운
3.1 음운 체계
3.1.1. 음소 체계
3.2. 음운현상
3.2.1. 어중 유성자음
3.2.2. 에>이" 현상
3.2.3. 어말자음군
3.2.4. 어간말자음의 재구조화
3.2.5. 전설고모음화

4. 동남 방언의 문법
4.1. 격조사
4.2. 종결어미
4.3. 선어말어미
4.4. 접속어미와 보조동사

5. 동남 방언의 어휘 성격
6. 나가며
<참고문헌>


본문
3. 동남 방언의 음운
3.1 음운 체계
3.1.1. 음소 체계
동남 방언의 모음 체계 가운데 에와 애 그리고 으와 어의 대립은 지역적인 차이를 보이는데 경남지역, 특히 서부 경남지역인 남해, 하동, 사천, 고성, 진주, 산청, 함양지역에서는 에와 애의 대립이 있으며 경북지역에서는 대립을 보이지 않는다. 반대로 경북지역, 특히 경북북부 지역인 울진, 봉화, 영풍, 상주, 의성, 금릉 등의 지역에서는 으와 어의 대립이 있으나 경남지역에서는 대립을 보이지 않는다.
또한 동남방언에서 위와 외는 단모음이 아닌 이중모음으로 실현되는데 경남 서북 지역에서는 외가 모음 아래서 웨로 그 외의 지역에서는 에로 실현되며, 자음아래에서는 주로 에 또는 오로 실현된다.
한편, 경북 방언에서 외는 모음 아래에서 왜로, 자음아래에서 중화된 애로 실현된다.
또한, 이중모음은 /(yE), y∃, yu, yo, ya/와 /wi, wE, w∃, wa/와 같이 아홉 개 정도가 있는데 이들이 모두 자음아래에서는 단모음으로 실현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경상도 방언은 모음의 수가 전국적으로 가장 적은 방언으로 특정지을 수 있다. 지역적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ㅓ~ㅡ및 ㅐ~ㅔ의 대립을 잃은 데에서 이미 두개가 줄어든 데다가 단모음 ㅚ,ㅟ도 없고 이중모음의 ㅢ,ㅙ,ㅞ 등도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외국, 궤짝은 에국, 게짝으로, 위장, 쥐는 이장, 지로, 의리 의논은 으리, 으논으로, 왜, 횃불은 와, 햇불로 발음한다. 그나마 ㅘ,ㅝ들조차 자음 뒤에서는 가자(←과자),꽁(←꿩), 구카(←국화)에서 보듯이 단모음으로 실현되며, ㅑ,ㅕ,ㅛ,ㅠ들도 벵(←병), 포(←표), 멘/민(←면)등에서 보듯 역시 단모음으로 실현된다. 이익섭,『국어학 개설』,학연사. 1986. p.353.

자음체계에서는 ㅅ과 ㅆ의 대립이 지역적으로 차이를 보이는데, 경북지역 중, 특히 대구를 중심으로 한 청도, 경산, 달성, 칠곡, 고령 등의 낙동강 동쪽지역에서는 ㅅ과 ㅆ이 변별되지 않는다. 그리고 경남지역 중에서도 동북지방에서는 변별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를 통해 낙동강이라는 자연환경으로 인한 방언 분화의 현상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오늘날 ㅅ과 ㅆ의 대립은 교육의 영향으로 세대 간 차이를 보인다.

3.1.2. 운소체계
가가가가가라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 동남 방언은 성조가 실현된다는 것을 큰 특징으로 지니는데 경상북도 지역과 경상남도 지역 간에는 성조 체계에 차이가 있다. 곧 경북방언에는 고조, 저조, 저&#8228;고조의 세가지 성조소가 있으나 경남 방언에는 고조와 저조의 성조소가 대립을 보인다. (최명옥, 1998:426)


본문내용
1 음운 체계
3.1.1. 음소 체계
3.2. 음운현상
3.2.1. 어중 유성자음
3.2.2. 에>이" 현상
3.2.3. 어말자음군
3.2.4. 어간말자음의 재구조화
3.2.5. 전설고모음화
4. 동남 방언의 문법
4.1. 격조사
4.2. 종결어미
4.3. 선어말어미
4.4. 접속어미와 보조동사
5. 동남 방언의 어휘 성격
6. 나가며
<참고문헌>
1. 들어가며
우리는 본격적인 동남 방언 연구에 앞서서 방언의 의미와 의의에 대하여 짚어보려 한다.
우선, 방언이란, 언어학적인 의미에서, 한 언어가 내적이거나 외적인 요인에 의하여 변화된 결과, 공간적으로, 시간적으로, 계층적으로 분화되었을 때에, 그 공간, 그 시간, 그 계층의 언어체계를 총칭한다. 이 경우에 공간적으로 분화된 방언을 지역 방언이라 하고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