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XAR 애니메이션 분석
![]() |
![]() ![]() ![]() ![]() ![]() |
목차 1. 서론 1.1 한국 애니메이션의 敗 1.2 미국 애니메이션의 勝 1.3 스토리의 생명 캐릭터와 플롯, 그리고 유머 1.4 그래서 수립된 본 글의 목적 1.5 목적에게 어떻게 다가갈 것인가 2. 본론 2.1 스토리텔링 분석 2.2 스토리텔링 분석 2.3 스토리텔링 분석 3. 결론 4. 참고자료 본문 1. 서론 1.1 한국 애니메이션의 敗 지난 2003년 개봉되어 한국 애니메이션계와 한국 애니메이션계의 발전을 바라는 모든 이들의 가슴에 비수를 깊숙이 꽂아준 <원더풀 데이즈>를 정점으로 90년대부터 한국의 애니메이션이 힘을 모아 추구한 것은 무엇일까. 기술이다. 좀 더 안정되고 리얼한, 즉 실사에 가까워 한없이 영화 같은 만화를 만들어내는 데에 아낌없이 투자했다. 그럴 수밖에 없었던 것이 애니메이션의 강자로 군림하는 미국과 일본의 제작 기술력에 비해 한국의 그것은 ‘새발의 피의 적혈구’에 불과했기 때문에 우리는 그들과 우리의 다른 점 중 가장 가시적인 Technology에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결과는 敗. 후략 1.3 스토리의 생명 캐릭터와 플롯, 그리고 유머 영화와 애니메이션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일까. 그것은 표현의 한계점에 있다. 컴퓨터 기술의 강력한 발전이 상상력과 영상표현력의 간격을 소멸시켜준 덕택에 애니메이션의 영지는 영화가 표현할 수 없는 부분까지 확대되어 있는 것이다. 실사로는 도저히 표현할 수 없는 이미지를 애니메이션은 성공적으로 실현한다. 그러나 상상력이 허용되는 만큼 스토리와 구성이 가져야 할 탄탄함은 배가된다. 왜냐하면 현실성이 부족할수록 관객의 의심은 커지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관객들은 애니메이션이 가지는 현실성의 부재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타당한 변명을 기다린다. 그러한 의심과의 적절한 타협을 이뤄내지 않으면 애니메이션은 무서울 정도로 빠르게 생명력을 잃게 된다. 후략 1.5 목적에게 어떻게 다가갈 것인가 근작인 , , 를 주재로 두어 PIXAR의 애니메이션에서 보여주는 스토리텔링의 공통점을 파악하여 그들의 전략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기본적인 서사 분석을 위시하여 PIXAR의 장점인 독특한 캐릭터와 유머 또한 귀납적으로 분석해볼 것이다. 후략 본문내용 어떻게 다가갈 것인가 2. 본론 2.1 <CARS> 스토리텔링 분석 2.2 <RATATOUILLE> 스토리텔링 분석 2.3 <THE INCREDIBLES> 스토리텔링 분석 3. 결론 4. 참고자료 애니메이션이란 무엇인가? -PIXAR의 정의 따라잡기- 1. 서론 1.1 한국 애니메이션의 敗 지난 2003년 개봉되어 한국 애니메이션계와 한국 애니메이션계의 발전을 바라는 모든 이들의 가슴에 비수를 깊숙이 꽂아준 <원더풀 데이즈>를 정점으로 90년대부터 한국의 애니메이션이 힘을 모아 추구한 것은 무엇일까. 기술이다. 좀 더 안정되고 리얼한, 즉 실사에 가까워 한없이 영화 같은 만화를 만들어내는 데에 아낌없이 투자했다. 그럴 수밖에 없었던 것이 애니메이션의 강자로 군림하는 미국과 일본의 제작 기술력에 비해 한국의 참고문헌 논문 이택광. 픽사, 미메시스, 그리고 유토피아 주의: 컴퓨터 애니메이션과 디지털 아우라. 문학과 영상 2007 봄. 255P 서적 애니메이션과 스토리텔링(이종한 조미라 공저, 2005, 136P) http://blog.naver.com/ub0222?Redirect=Log&logNo=150003923833 -> PIXAR 정보 http://www.pixar.com/ -> PIXAR 정보 하고 싶은 말 애니메이션 전문제작사 픽사의 작품 중 세 작품을 한국의 애니메이션이 가지는 대표적인 약점을 스토리의 부재로, PIXAR 애니메이션의 강점을 양질의 스토리로 전제하고 분석하여, 한국 애니메이션의 발전을 모색했습니다. A+ 성적을 받은 과제물로, 애니메이션 스크린샷, 분석표, 각주, 자료출저 등 포함입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