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1월 29일 금요일

사회과학 연구계획서-한국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 형성과 대중매체의 관련성 연구

사회과학 연구계획서-한국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 형성과 대중매체의 관련성 연구
[사회과학] 연구계획서-한국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 형성과 대중매체의 관련성 연구.docx


목차
초록
Ⅰ.서론
1.1문제제기
1.2연구주제 및 연구목적
1.3논문구성

Ⅱ. 본론
2. 이론적 배경 및 기존 연구의 검토
2.1 이론적 배경
2.2 한국 기독교의 이미지에 관한 기존 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수행
4.1 대중매체에서의 한국 기독교 이미지 분석
(1)뉴스 및 기사
(2)시사∙교양프로그램
(3)영화와 소설
4.2 한국 기독교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 조사
(1)설문조사의 대상 및 설문조사의 구성
(2)설문조사 결과 분석
5. 대중매체의 한국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 형성에 미친 영향분석
(1) 대중매체에서와 응답자의 한국 기독교 인식 및 이미지 비교
(2) 대중매체가 한국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형성에 미친 영향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
1.문제제기

최근 대형교회 목사가 일본 원전 사고에 대해 경솔한 정치적인 발언을 함으로써 많은 비판을 받은 후, 결국 그로 인해 사임하게 되는 일이 있었다. 그리고 각종 인터넷 포털 사이트, 뉴스 매체 등에서 유명 대형 교회 목사의 성추행 사건, 세금 탈세, 교회의 권력화 등에 대한 기사들도 연이어 보도됨으로써 한국 사회 내에서 기독교는 계속해서 부정적인 이슈의 중심으로 오르내리게 되었다. 이 같은 현상은 비단 2011년에만 국한되어 살펴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목사의 여신도 폭행, 성추행 사건은 정확히 어느 교회의 목사가 언제 그랬는지 까지는 자세히 알지 못할 지라도, 기독교 목사가 성범죄를 저질렀다는 사실을 새삼 놀랍게 받아들이는 대한민국 국민들은 거의 없을 정도로, 세금 탈세를 비롯한 각종 부정 부패와 성추행 사건들로 얼룩진 한국 기독교의 모습은 오랫동안 한국 사회 내에서 기독교 그 자체에 대한 강한 반감을 형성하기에 충분할 만큼, 전 국민에게 흔한 것이었다. 더욱이 2007년, 기독교에 대한 반감이 대한민국 전체를 강타한 사건이 있었는데, 바로 ‘샘물교회의 아프가니스탄 피랍사건’이다.
탈레반 한국인 납치 사건이라는 공식명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샘물교회’ 아프가니스탄 피랍사건으로 더욱 잘 알려진 이 사건은 아프가니스탄으로 선교를 떠났던 23명의 대한민국 국민이 탈레반 무장 세력에 의해 납치되었던 사건이다. 결과적으로 피랍된 23명 중 2명이 살해당했고, 약 한 달 반 동안의 끊임없는 긴장과 공포 속에 대한민국 정부와 탈레반의 협상이 이루어졌고, 피랍사태는 발생 42일 만에 종료되었다. 그러나 사건은 종료되었으나, 피랍사건이 낳은 한국사회 내에 기독교에 대한 반감은 점차 눈덩이처럼 커져만 갔다. 마치 절호의 기회를 찾은 듯, 잠재하고 있던 한국 사회 내의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하나 둘씩 고개를 들기 시작하면서, 기독교는 일부 비판가들의 말처럼, ‘개독교’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조롱과 지탄의 대상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본문내용
연구의 검토
2.1 이론적 배경
2.2 한국 기독교의 이미지에 관한 기존 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수행
4.1 대중매체에서의 한국 기독교 이미지 분석
(1)뉴스 및 기사
(2)시사교양프로그램
(3)영화와 소설
4.2 한국 기독교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 조사
(1)설문조사의 대상 및 설문조사의 구성
(2)설문조사 결과 분석
5. 대중매체의 한국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 형성에 미친 영향분석
(1) 대중매체에서와 응답자의 한국 기독교 인식 및 이미지 비교
(2) 대중매체가 한국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형성에 미친 영향
Ⅲ. 결론
참고문헌
문제제기
최근 대형교회 목사가 일본 원전 사고에 대해 경솔한 정치적인 발언을 함으로써 많은 비판을 받은 후, 결국 그로 인해 사임하게 되는 일이 있었다. 그리고 각종 인터

참고문헌
Chatman, S. 1990. 『The Rhetoric of narrative in fiction and film』 한용환 강덕화 역.
『영화와 소설의 수사학』2000. 서울. 동국대출판부
McQuail, D. 2002. 『Mass communication theory』.양승찬강미은도준호 공역,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 서울. 나남
김민기. 2003. 『문화상품과 기독교적 문화읽기』 서울. 도서출판 불과 구름
김광건. 2008. “반기독교적 언론을 어떻게 볼 것인가”. 『목회와 신학』 1월호. 서울. 두란노
서원
박규상. 2009. “광고캠페인을 통한 기독교 이미지 제고”. 숭실대학교 대학원 기독교문화과.
박정신. 2004. 『오늘의 한국기독교 읽기』.서울. 다락방
서인숙. 1996. 『영화비평의 이론과 실제』 서울. 집문당
우진형. 2001. 한국교회 이미지에 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교육
대학원
장일, 조진희. 2007. 『시네마 그라피티 : 대중문화와 영화비평』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최창섭. 1993. 『교회와 미디어 각론. 서울』. 서울. 성바오로 출판사
황세원. 2010. 예장 통합, 방송신문 종교별 보도 내용 분석 ‘기독교 비판’ 타종교 비해 압도적” [검색일: 2011. 6. 12]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3932622&cp=nv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