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 론 2.모 형 3.자 료 4.분 석 5.요약/결론
본문 문헌연구 – 이론/가설 가설 1. 실질국내총생산(GDP)이 낮을수록 이혼건수가 높을 것이다.
가설 2. 실업률이 높을수록 이혼건수가 높을 것이다.
가설 3.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이 높을수록 이혼건수가 높을 것이다.
가설 4. 경제위기가 찾아 왔을 때 이혼건수가 급격히 증가할 것이다.
2.모형 변수설명
변수사이의 관계와 작업가설
추정방정식
변수설명 종속변수 이혼건수 (DIVORCE)
독립변수 실질GDP (REALGDP) 실업률 (UNEMPL)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WECONO) 경제위기 (CRISIS)
한계점 이혼 사유 중 가장 높은 성격차이(46%,2010)는 사람의 마음이므로 객관적으로 조사 불가능
BUT! 경제적 압박에 의한 스트레스, 결혼 생활 만족도 감소 등이 성격차이, 가정 불화 등 이혼 사유 중 높은 부분을 차지하는 개인적 요인들에 큰 영향을 미침.
본문내용 와 연구의 범위 외환위기 미국발 금융위기 통계청 94-2011
문헌연구이론/가설 LG경제연구소,2006 경제성장률과 이혼율는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문헌연구이론/가설 정기원,2004 소득수준과 이혼건수는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문헌연구이론/가설 소득수준과 이혼건수는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경제성장률과 이혼건수는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문헌연구이론/가설 가설 1. 실질국내총생산(GDP)이 낮을수록 이혼건수가 높을 것이다. 가설 2. 실업률이 높을수록 이혼건수가 높을 것이다. 가설 3.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이 높을수록 이혼건수가 높을 것이다. 가설 4. 경제위기가 찾아 왔을 때 이혼건수가 급격히 증가할 것이다.
모형 2
변수설명 변수사이의 관계와
참고문헌 여성가족부
통계청 KOSIS, e-나라지표
한국은행 ECOS
LG경제연구소“자살, 이혼, 범죄 그리고 경제”, 2006
연구논문 - 사회경제 상황이 이혼건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정기원, 2004
연구논문 - 이혼건수 추이의 거시경제 분석, 이홍재, 2006
보도자료 - 2011 혼인*이혼 통계자료, 통계청
조선일보 - “30∼40대 이혼건수 경기침체에 가장 민감”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