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Millennium Dome 참여 측면 맥락 측면 시간 측면
2.일본 캐널시티 vs 밀레니엄 돔 소개 밀레니엄 돔의 실패 밀레니엄 돔의 실패원인
3.밀레니엄 돔이 성공하기 위한 E- factor전략
4.효과 달성 방법 & 기대효과
본문 밀레니엄 돔 영국 런던 템즈 강가에 건설된 돔 형식 건축물 1999년 12월 31일 개관 총 건축비용 12억 달러 완공기간 : 6년 총면적 : 8만㎢
한 세기의 마감과 다가오는 새천년을 기념하기 위한 영국의 그리니치 2000 밀레니엄 행사의 일환으로 건축
런던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영국의 새로운 랜드마크를 만든다는 전략을 가지고 개장 첫 개장한 2000년도 당시 한 해 1천 200만명의 관광객을 끌어들일 것으로 예측됨
불명확한 사용계획 새천년맞이 행사만을 위한 임시적인 성격의 행사장으로 건립되었다. 돔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프로그램은 돔을 건설하기로 결정한 후만들어졌다.
비싼 입장료 밀레니엄 돔 건축에는 공적자금이 투자되었기 때문에 투자금 회수를 위한 목적으로 합당한 입장료 책정이 이루어 지지 않음 2000년 당시 영국 버킹엄 궁 입장료는 10.50파운드인 반면 밀레니엄 돔의입장료는 20파운드
과도한 운영비용 초대형의 시설을 짓고, 운영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너무 과대하였기 때문
일본의 쿠슈지방을 대표하는 대규모 복합 상업시설. 독특한 특성을 가진 다양한 시설이 새로운 형태로 결합된 복합단지. 상권인구: 후쿠오카 40키로미터 생활권 내 450만명, 유동인구 1,300만명 교통현황: 하카다역에서 도보 10분거리. 입지현황: 교통과 비즈니스 중심인 하카다역과 상업중심지인 텐진지역의 중간지점에 위치.
본문내용 소개 밀레니엄 돔의 실패 밀레니엄 돔의 실패원인 참여 측면 맥락 측면 시간 측면
밀레니엄 돔 한 세기의 마감과 다가오는 새천년을 기념하기 위한 영국의 그리니치 2000 밀레니엄 행사의 일환으로 건축 런던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영국의 새로운 랜드마크를 만든다는 전략을 가지고 개장 첫 개장한 2000년도 당시 한 해 1천 200만명의 관광객을 끌어들일 것으로 예측됨 영국 런던 템즈 강가에 건설된 돔 형식 건축물 1999년 12월 31일 개관 총 건축비용 12억 달러 완공기간 : 6년 총면적 : 8만㎢
밀레니엄 돔의 실패
밀레니엄 돔 실패원인
Canal City vs Millennium Dome 캐널 시티 밀레니엄 돔
일본의 쿠슈지방을 대표하는 대규모 복합 상업시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